본문 바로가기
BOJ

[Python] 백준 20055: 컨베이어 벨트 위의 로봇

by 야호호코코 2024. 4. 13.
반응형

 solved.ac 기준 Gold5

 

 구현 문제의 장점은 문제만 읽어내면 어떻게든 풀 수 있다는 것이고, 단점은 문제만 읽어서 모든 것을 이해해내야한다는 것이다. 문제를 풀다가 자기확신에 빠져들지 않고 최대한 문제 지문에 코드를 일대일 대응 시키게끔 해야 풀기가 수월해지는데, 나는 중간에 자기확신을 가졌기 때문에 로직은 완벽히 짜고서 자그마한 수정만 하면 되는걸 많이 헤맨 문제였다. 

 

문제

길이가 N인 컨베이어 벨트가 있고, 길이가 2N인 벨트가 이 컨베이어 벨트를 위아래로 감싸며 돌고 있다. 벨트는 길이 1 간격으로 2N개의 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칸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1부터 2N까지의 번호가 매겨져 있다.

벨트가 한 칸 회전하면 1번부터 2N-1번까지의 칸은 다음 번호의 칸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고, 2N번 칸은 1번 칸의 위치로 이동한다. i번 칸의 내구도는 Ai이다. 위의 그림에서 1번 칸이 있는 위치를 "올리는 위치", N번 칸이 있는 위치를 "내리는 위치"라고 한다.

컨베이어 벨트에 박스 모양 로봇을 하나씩 올리려고 한다. 로봇은 올리는 위치에만 올릴 수 있다. 언제든지 로봇이 내리는 위치에 도달하면 그 즉시 내린다. 로봇은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스스로 이동할 수 있다. 로봇을 올리는 위치에 올리거나 로봇이 어떤 칸으로 이동하면 그 칸의 내구도는 즉시 1만큼 감소한다.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해 로봇들을 건너편으로 옮기려고 한다. 로봇을 옮기는 과정에서는 아래와 같은 일이 순서대로 일어난다.

  1. 벨트가 각 칸 위에 있는 로봇과 함께 한 칸 회전한다.
  2. 가장 먼저 벨트에 올라간 로봇부터, 벨트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할 수 있다면 이동한다. 만약 이동할 수 없다면 가만히 있는다.
    1. 로봇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동하려는 칸에 로봇이 없으며, 그 칸의 내구도가 1 이상 남아 있어야 한다.
  3. 올리는 위치에 있는 칸의 내구도가 0이 아니면 올리는 위치에 로봇을 올린다.
  4. 내구도가 0인 칸의 개수가 K개 이상이라면 과정을 종료한다. 그렇지 않다면 1번으로 돌아간다.

종료되었을 때 몇 번째 단계가 진행 중이었는지 구해보자. 가장 처음 수행되는 단계는 1번째 단계이다.

입력

첫째 줄에 N, K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A1, A2, ..., A2N이 주어진다.

출력

몇 번째 단계가 진행 중일때 종료되었는지 출력한다.

제한

  • 2 ≤ N ≤ 100
  • 1 ≤ K ≤ 2N
  • 1 ≤ Ai ≤ 1,000

예제 입력 1 

3 2
1 2 1 2 1 2

예제 출력 1 

2

예제 입력 2 

3 6
10 10 10 10 10 10

예제 출력 2 

31

 

정답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K = map(int, input().split())
belt = list(map(int, input().split()))
N *= 2

belt = deque([[b, 0] for b in belt])

zero_count = 0
result = 0
while zero_count < K:
    result += 1

    # 1번
    belt.appendleft(belt.pop())
    belt[N//2-1][1] = 0

    # 2번
    for i in range(N-2, -1, -1):
        if belt[i][1] and belt[i+1][0] > 0 and belt[i+1][1] == 0:
            belt[i+1][0] -= 1
            belt[i+1][1] = belt[i][1]
            belt[i][1] = 0

    belt[N//2-1][1] = 0

    # 3번
    if belt[0][0] > 0:
        belt[0][1] = 1
        belt[0][0] -= 1

    # 4번
    zero_count = 0
    for b in belt:
        if b[0] == 0:
            zero_count += 1

print(result)

 

 deque의 특성을 이용하면 쉽게 풀 수 있었다. 각 벨트를 [남은내구도, 올라간 로봇]으로 표현해 데크에 순차적으로 담고, 각 과정을 다음과 같은 로직으로 짰다.

 

 1. 데크에서 pop한 것을 바로 appendleft하여 벨트가 순환하여 이동한 것으로 만든다. 그리고 N번째 칸에 위치하게 된 벨트의 로봇을 없애준다.

 2. 가장 먼저 들어간 로봇부터 순차적으로 다음 칸의 벨트로 이동한다. 1 ~ 2N번 까지 기준으로 항상 가장 먼저 들어온 로봇은 뒷 번호에 있을 것이므로, 뒤에서부터 탐색하며 옮겨준다.

 3. 첫번째 벨트에 조건을 만족할 시 로봇을 올려준다.

 4. 내구도가 0인 벨트를 카운트한다.

 

위 과정을 zero_count가 K 미만인 동안 반복하게 되면 답을 도출할 수 있다.

 

난 이 과정에서 로봇이 빠지는 구간을 2N번째로 착각하고, 다른 부분에서 실수가 있는 것으로 착각하여 빙빙 돌아가다가 뒤늦게 깨달았다.

반응형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21608: 상어 초등학교  (0) 2024.04.13
[Python] 백준 1342: 행운의 문자열  (0) 2024.04.09
[Python] 백준 1325: 효율적인 해킹  (0) 2024.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