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딩10 python 해보자[2] = 출력 해보자 1. 출력을 해보자 이전에 python 해보자[1]에서 했던 환경구축 마지막 부분에 테스트를 통해 미리 만나봤었다. 바로 print 함수가 출력 함수이다. 함수라는 개념에서 알 수 있듯이, print라는 이름의 함수에 괄호로 값을 넘겨주면, 이 함수가 출력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저번 글에서 했던 것을 복습해보자.print("Hello Python!") print 함수에 "Hello Python!" 이라는 내용을 값으로 넘겨줬다. print 함수가 이 값을 활용해 출력하는 것이다. 화면에는Hello Python!이 출력될 것이다. 2. 무엇을 출력할 수 있나? 그렇다면 한 가지 궁금해지는 점. print 함수는 무엇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인가? 아직 자료형을 배우기 전이니, 간단하게 문자와 숫자 그리고 변.. 2025. 2. 7. python 해보자[1] = Hello, Python! (환경 구성) 1. 왜 파이썬이죠? 파이썬의 역사부터 효능까지 나열하면 글이 매우 길고 지루해질테니, 간결하게 말하겠다. 1. 직관적이고 쉬운 문법. 2. 상상하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 3. 개발 환경 구성이 매우 쉬움. 4. 결론 : 입문부터 학습, 심화된 적용까지 모두 사용이 편한 언어. 다만, 우리는 추후 업무 자동화, 크롤링 등 반복 작업의 개선과 효율적인 업무를 목적으로 기초부터 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관심분야를 가진 입문자께서는 C, C++, JAVA 등의 언어도 고려하는 것이 좋다. 2. 설치해보자 python 해보자에서는 개발 환경이 python IDLE 혹은 Visual Studio Code에서의 환경이라고 가정하여 실습할 것이다. 우선, 파이썬 공식 홈페이지에서 python을 다운로.. 2025. 2. 5. python 해보자[0] = 어떻게 코딩으로 세상을 바꾸는가 내가 다닌 대학교에서는 모든 학생이 전공과 관계없이 Python을 필수로 배워야 했다. 물론 나와 같이 코딩에 관심이 많고 고등학교 때부터 해왔던 사람이라면 그런 꿀교양이 없었다. 하지만, 전공자라 해도 입학하자마자 낯선 Python을 배우는 것은 이유도 모른 채 또 하나의 큰 부담을 떠안는 것과 다름없었다. 내가 이 수업을 듣는 입장에서는, 수업 시간에 놀면서 A+을 받을 수 있었던 날로 먹은 과목에 지나지 않았지만, 고학년이 되어 비전공자 수업의 조교을 겪어보니 다른 의미로 다가왔다. "왜 이 사람들은 흥미도 없는 코딩을 억지로 배워야 할까?" 비전공자의 입장에서 보면, 이 강의는 흥미도 관심도 없는 내용을 목적도 없이 배우는 과정일 뿐이다. 몇 번 문제를 풀고 과제와 시험을 치르며 겨우 학.. 2025. 2. 5. [Python] 백준 21608: 상어 초등학교 solved.ac 기준 Gold5 구현 문제의 핵심은 지문을 잘 이해해서 풀이 속도를 높이는 것이다. 그래서 국어 비문학 문제와 같기도 하다. 사실 특별한 기술을 요하는 것이 없고, 어떻게든 풀 수 있게 나오기 때문에, 글에 나와있는 규칙을 이해하고, 코드로 옮기는 과정을 빠르게 해야한다. 그래서 이 문제처럼 긴 지문이 나오면 덜커덕 겁이 나기도 하지만, 세심하게 읽으면서 구조를 짠다. 한 3~4분은 키보드 안잡고 문제를 보며 구조를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자. 문제 상어 초등학교에는 교실이 하나 있고, 교실은 N×N 크기의 격자로 나타낼 수 있다. 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수는 N2명이다. 오늘은 모든 학생의 자리를 정하는 날이다. 학생은 1번부터 N2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고, (r, c)는 r행 c열을 의.. 2024. 4. 13. [Python] 백준 20055: 컨베이어 벨트 위의 로봇 solved.ac 기준 Gold5 구현 문제의 장점은 문제만 읽어내면 어떻게든 풀 수 있다는 것이고, 단점은 문제만 읽어서 모든 것을 이해해내야한다는 것이다. 문제를 풀다가 자기확신에 빠져들지 않고 최대한 문제 지문에 코드를 일대일 대응 시키게끔 해야 풀기가 수월해지는데, 나는 중간에 자기확신을 가졌기 때문에 로직은 완벽히 짜고서 자그마한 수정만 하면 되는걸 많이 헤맨 문제였다. 문제 길이가 N인 컨베이어 벨트가 있고, 길이가 2N인 벨트가 이 컨베이어 벨트를 위아래로 감싸며 돌고 있다. 벨트는 길이 1 간격으로 2N개의 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칸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1부터 2N까지의 번호가 매겨져 있다. 벨트가 한 칸 회전하면 1번부터 2N-1번까지의 칸은 다음 번호의 칸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고.. 2024. 4. 13. [Python] 백준 1325: 효율적인 해킹 실버1~2 문제를 손풀기 겸 뇌 깨우기로 계속해서 풀고 있다. 한창 백준 티어 끌어올리기 할 때 만큼 빠르지는 않지만 문제 해석 능력과 자료구조, 알고리즘 적용 감각이 돌아오고 있는 것이 느껴저 좋다. 이번 문제는 간단하게 그래프를 사용하여 풀 수 있는 문제이다. 문제 해커 김지민은 잘 알려진 어느 회사를 해킹하려고 한다. 이 회사는 N개의 컴퓨터로 이루어져 있다. 김지민은 귀찮기 때문에, 한 번의 해킹으로 여러 개의 컴퓨터를 해킹 할 수 있는 컴퓨터를 해킹하려고 한다. 이 회사의 컴퓨터는 신뢰하는 관계와, 신뢰하지 않는 관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A가 B를 신뢰하는 경우에는 B를 해킹하면, A도 해킹할 수 있다는 소리다. 이 회사의 컴퓨터의 신뢰하는 관계가 주어졌을 때, 한 번에 가장 많은 컴퓨터를 해킹.. 2024. 4. 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