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바스크립트2

[node.js][4] 간단한 ejs 동적 페이지 만들어보기 지난 글에서는... ejs의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어떻게 html 파일 내에 자바스크립트를 내장시키는 지 알아보았고 등의 태그, 규칙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동적 페이지를 생성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4][0] 동적페이지란? 동적페이지라 함은, 정적으로 저장되어있는 정보만이 아닌, 사용자와 서버의 상호작용 통해 그때그때 가공된 페이지를 말한다. 예를 들면, yahohococo.tistory.com은 항상 고정되어 있는 코딩노예블로그의 홈 화면을 보여주지만, 그 뒤에 숫자를 붙이거나 다른 키워드를 붙여 페이지 내의 원하는 글이나 관리자 모드의 페이지를 넘겨받을 수 있다. http://yahohococo.tistory.com/43처럼 말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직접 뒤에 붙여,.. 2019. 8. 11.
[node.js][3] ejs 사용설명서 지난 글에서는.. express모듈의 GET과 POST 함수 사용법을 알아보았다. 이로써 주소창에 입력한 디렉토리 별로 페이지를 다르게 출력하고, 서버에 POST요청을 보낼 수도 있게 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ej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ejs를 다 알고있다면 맨 밑에 유의점도 나름 고초를 겪고나서 써본 것이니 그것만 읽어도 된다. [3][0] ejs란? ejs는 Embedded JavaScript의 약자로, 쉽게 말하면 자바스크립트가 내장되어 있는 html 파일이다. html에도 자바스크립트를 넣을 수 있지 않냐고? html 안에 내장되어 있는 것과 바깥에서 건드리는 것의 차이다. 볼품없는 그림으로 한 번 설명해드리겠다. 왼쪽은 ejs, 오른쪽은 html파일의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한 div여러개 만들기.. 2019. 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