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딩공부3 Python 해보자 [5] = 문자열 자료형 (str) 1. 문자열 (str) 말 그대로 문자를 표현하는 자료형이다. 다른 언어라면 단일 문자와 여러 문자인 문자열을 구분짓지만, 파이썬에서는 그러지 않는 관계로 문자열이라고 통일해서 부르겠다. 문자열은 문자로 이루어진 배열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여러 개의 문자를 이어 붙여 하나의 변수 안에서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선 배열 부분을 짚고 넘어가야 하므로, 배열 파트에서 더 상세하게 다루고, 지금은 문자열을 어떻게 선언하고, 다루는지를 중점으로 설명하겠다. 문자열을 나타내는 방법은, 작은 따옴표(') 혹은 큰 따옴표(")로 시작하고 내용을 입력한 뒤, 동일한 따옴표로 감싸는 것이다. 다음 코드를 보자.my_str = "나는 파이썬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my_str이라는 변수에 "나는 파이썬.. 2025. 2. 13. Python 해보자 [4] = 숫자 자료형 (int, float) 1. 자료형이란? 같은 사람이라도 그 성격과 생김새, 할 수 있는 일 등이 다르듯이, 변수 끼리도 각자 역할이 다르다. 일단 그 생김새와 할 수 있는 일을 규정하는 것이 바로 자료형이다. 자료의 형태를 규정하여 저장된 값이 할 수 있는 연산을 규정하는 것이다. 변수의 자료형이 무엇인지는 type() 함수로 확인이 가능하다. 변수를 선언하고, type(변수명)을 출력하면, 변수가 어떠한 자료형인지를 알 수 있다. 다음과 같이 해보자.a = 1b = 1.1c = 'hello'd = Truee = [1, 2, 3]f = {1 : 1}print("a", type(a))print("b", type(b))print("c", type(c))print("d", type(d))print("e", type(e))prin.. 2025. 2. 13. python 해보자[3] = 변수 1. 변수란 무엇인가? 수학을 배운 적이 있다면, 방정식을 풀 때 x = 3, y = 5와 같이 대입을 해서 푼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러면 나중에 방정식의 x가 나타나면 그 자리에는 3을, y가 나타나면 그 자리엔 5를 넣어서 수식을 풀어나갔을 것이다. 파이썬에서의 변수도 그것과 다르지 않은 개념이다. 간단한 코드로 확인해보자.x = 3y = 5word = "단어"sentence = "이것은 긴 문장입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이다. 변수명 = 대입할 값이라는 직관적인 문법으로 변수 선언이 가능하다. 우리가 수학에서 풀었던 그것과 같다. 다른 언어였다면 변수명 앞에 이 변수가 무슨 자료형인지 명시해줘야 하지만, 파이썬은 뒤에 대입할 값에 따라 자동으로 자료형이 설정된다. 수학에서는 수식.. 2025. 2.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