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료구조의 사용과 함께 알고리즘 풀이에 자주 쓰이는 데크를 푸는 것을 다시 깨우치기 위해 쉬운 문제부터 시작했다. 이 문제는 큐의 회전하는 성질이 데크와 맞닿아 있다. 회전을 pop을 하면서 반대편에 다시 append해주는 방식으로 구현하면 편리하다.
문제
지민이는 N개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양방향 순환 큐를 가지고 있다. 지민이는 이 큐에서 몇 개의 원소를 뽑아내려고 한다.
지민이는 이 큐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 첫 번째 원소를 뽑아낸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원래 큐의 원소가 a1, ..., ak이었던 것이 a2, ..., ak와 같이 된다.
- 왼쪽으로 한 칸 이동시킨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a1, ..., ak가 a2, ..., ak, a1이 된다.
-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시킨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a1, ..., ak가 ak, a1, ..., ak-1이 된다.
큐에 처음에 포함되어 있던 수 N이 주어진다. 그리고 지민이가 뽑아내려고 하는 원소의 위치가 주어진다. (이 위치는 가장 처음 큐에서의 위치이다.) 이때, 그 원소를 주어진 순서대로 뽑아내는데 드는 2번, 3번 연산의 최솟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큐의 크기 N과 뽑아내려고 하는 수의 개수 M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M은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는 지민이가 뽑아내려고 하는 수의 위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위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의 정답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0 3
1 2 3
예제 출력 1
0
예제 입력 2
10 3
2 9 5
예제 출력 2
8
정답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M = map(int, input().split())
q = deque([i for i in range(1, N+1)])
nums = list(map(int, input().split()))
result = 0
for n in nums:
if q.index(n) == 0:
pass
elif (len(q) - q.index(n) - 1) < q.index(n):
tmp = []
for _ in range((len(q) - q.index(n))):
q.appendleft(q.pop())
result += 1
else:
for _ in range(q.index(n)):
q.append(q.popleft())
result += 1
q.popleft()
print(result)
쉬운 문제이지만 초기화, 모듈의 사용, 자료구조의 사용을 다시금 일깨우게 해주도록 손을 풀기에 용이한 문제였다. 입력받은 숫자들을 하나씩 살피면서, 현재 큐의 상태에서 왼쪽, 오른쪽을 그리디하게 선택한다. 오른쪽에서 보는것이 더 짧으면 오른쪽, 그게 아니면 왼쪽으로 빼면서 원소들을 뽑는다.
반응형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1138: 한 줄로 서기 (0) | 2024.04.06 |
---|---|
[Python] 백준 1002번: 터렛 (0) | 2024.04.05 |
[C] 백준 1003번: 피보나치 함수 (0) | 2019.03.12 |